IT 22

[Linux] /bin/bash^M: bad interpreter

Naver Cloud Platform OS : CentOS 7.8 에러발생 리눅스 서버에 파일을 올리고, 스크립트를 실행하려고 하니 해당 오류가 뜨며 실행되지 않았다. 에러원인 윈도우에서 스크립트 파일을 만들고, 리눅스에서 실행했기 때문에 나타나는 오류이다. 윈도우의 줄바꿈 문자를 리눅스는 인식하지 못한다. 해결방안 1. ^M 삭제하기 [root@hhcho-test test]$ vim -b init_script.txt -b 옵션을 주고 파일을 열어보면, 아래와 같이 끝에 ^M 이 붙어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문자를 삭제하기 위한 명령어 이다. [root@hhcho-test home]# sed -i 's/\r$//' init_script.txt 스크립트를 재실행 해보면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걸 확인할..

IT/Error 2023.03.13

Tomcat 404 에러

다른 분이 사용하던 테스트 서버를 빌렸는데, 뭐를 바꿔놓으신 건지 톰캣 페이지가 안떠서 이것저것 뒤적뒤적한 기록이다. 설정파일 위치 찾기 톰캣 설정파일은 /usr/share/tomcat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심볼릭링크가 걸려 있어 원하는 대로 편하게 찾을 수 있다. [root@test tomcat]# ll /usr/share/tomcat total 0 drwxr-xr-x 2 root root 76 Feb 2 09:59 bin lrwxrwxrwx 1 root tomcat 11 Feb 2 09:20 conf -> /etc/tomcat lrwxrwxrwx 1 root tomcat 22 Feb 2 09:20 lib -> /usr/share/java/tomcat lrwxrwxrwx 1 root to..

IT/끄적끄적 2023.02.10

Java compile/decompile

코드를 수정해야하는 일이 생겼는데 .class 파일 내용을 확인할 수가 없었다. JAVA 컴파일 과정을 몰라서 약간의 삽질을 했기에 잊지않으려고 기록해둔다. 자바 컴파일 순서는 .java > compile > .class .java는 사람이 작성하는 소스코드이므로 읽을 수 있지만, .class는 자바 바이트코드 파일로 자바 가상머신이 이해할 수 있는 코드이다. 이 과정을 컴파일(compile)이라고 하고, 반대 순서를 디컴파일(decompile)이라고 한다. .class 파일을 읽으려면 디컴파일(decompile)과정이 필요한데, 여러 툴이 있겠지만 나는 Intellij 를 사용하였다. Intellij 설치 후 .class 파일을 열면 자동으로 디컴파일(decompile) 해준다.

IT/끄적끄적 2023.02.10

[Linux] bash: /usr/bin/yum: /usr/bin/python: bad interpreter: No such file or directory

Naver Cloud Platform OS : CentOS 7.8 에러발생 yum을 사용해서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으려고 하니 에러메시지가 뜨며 설치가 되지 않았다. 에러메시지는 총 두개였는데 한번에 해결되었다. -bash: /usr/bin/yum: /usr/bin/python: bad interpreter: Permission denied -bash: /usr/bin/yum: /usr/bin/python: bad interpreter: No such file or directory 에러원인 해당 에러는 yum 의 python 경로가 제대로 지정이 안되어 있어서 생기는 오류이다. 해결방안 1. 파일 경로 찾기 whereis 명령어로 위치를 찾아준다. [root@test bin]# whereis python..

IT/Error 2022.12.08

[LINUX] Nginx Proxy Manager 설치

Naver Cloud Platform OS : CentOS 7.8 공인IP가 있는 서버에 Nginx Proxy Manager를 설치하여 해당 서버를 통해 다른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해주었습니다. 1. Docker, Docker Compose 설치 - Docker 설치 //Docker 설치 스크립트 다운로드 [root@web-01 ~]# curl -fsSL https://get.docker.com -o get-docker.sh //스크립트에 실행권한 부여 [root@web-01 ~]# chmod +x get-docker.sh //스크립트 실행 [root@web-01 ~]# ./get-docker.sh ❗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at unix:///var/ru..

IT/Linux 2022.11.29

[Linux] CentOS7 IP 확인 방법

VMware Workstation OS : CentOS 7.9 📌 참고사항 Redhat은 centOS7 부터는 기본적으로 net-tools 패키지를 더 이상 설치하지 않습니다. ifconfig 나 netstat 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net-tools 패키지를 yum으로 설치해야합니다. 1. ip addr / ip addr show 두 명령어 모두 결과 출력 화면은 같습니다. [root@test ~]# ip addr 1: lo: mtu 65536 qdisc noqueue state UNKNOWN group default qlen 1000 link/loopback 00:00:00:00:00:00 brd 00:00:00:00:00:00 inet 127.0.0.1/8 scope host lo valid_..

IT/Linux 2022.06.10

[Azure] NFS Azure 파일 공유 생성 및 VM 연결하기

Azure VM : CentOS-based 7.9 - Gen2 / Standard_B2s - 2 vcpu, 4 GiB 메모리 1. 사전작업 Azure 가상머신이 필요하므로 한 대 생성해준다. 운영 체제와 크기 이외에는 다 기본값으로 생성해 주었다. 2. 스토리지 저장소 계정 생성 메뉴 > 스토리지 계정 > 만들기 Azure에서는 스토리지를 생성하기 위해 계정을 만들어주어야 한다. 기본탭 설정 외의 다른 설정은 다 기본값으로 설정해 만들어 주었다. 구독, 리소스 그룹 : 가상머신을 생성한 그룹을 선택한다. 스토리지 계정 이름 : Azure의 모든 기존 스토리지 계정 이름 가운데 고유해야 한다. 지역 : 프리미엄 파일 저장소를 지원하는 지역을 선택한다. 성능 : 프리미엄 프리미엄 계정 유형 : 파일 공유 중..

IT/Cloud 2022.04.27

[Linux] SSH 접속 포트번호 변경

VMware Workstation 15.5 PRO OS : CentOS 7.9 SSH는 기본적으로 22번 포트를 사용한다. 따라서 보안에 취약하므로, 보안을 위해서라면 다른 포트번호를 설정해주는것이 좋다. 1. 설정파일 수정 설정파일에 들어가서 자신이 원하는 포트번호를 아래에 추가하고 저장한다. 우리는 후에 Selinux 설정이 필요할 수 있기에 아래 주석을 잘 살펴보자. (해석 : SELinux 시스템에서 포트를 변경하려면 이 변경 사항을 SELinux에 알려야 합니다.) vim /etc/ssh/sshd_config # If you want to change the port on a SELinux system, you have to tell # SELinux about this change. # sem..

IT/Linux 2022.04.20

[Linux] curl#6 - "Could not resolve host: mirrorlist.centos.org; Unknown error""

VMware Workstation OS : CentOS 7.9 에러발생 yum을 사용하여 net-tools를 설치하려고 하였으나, 해당 오류가 뜨면서 설치가 되지 않는다. 에러원인 인터넷 연결이 정상적이지 않을 때 발생하는 에러이다. net-tools가 없으니 ip addr 명령어로 IP를 확인해보면 IP를 못받아오는것을 볼 수 있다. 인터페이스가 활성화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net-tools? CentOS 7을 최소(minimal)로 설치하면 네트워크툴이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ifconfig, netstat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net-tools를 사용해야 한다. 해결방안 ONBOOT 부분을 yes로 바꾸어준 뒤, 네트워크를 재시작하면 정상적으로 IP를 받아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ONB..

IT/Error 2022.04.01

[OpenStack] 가상 네트워크 구성 및 overlay를 사용하여 Live-migration 구현

실습 주제 : OpenStack을 사용하여 Live-migration 구현 VMware Workstation OS : CentOS 7.9 OpenStack Release : Train 노드 생성 및 네트워크 설정이 이전 글과 이어집니다. 2022.03.30 - [IT/OpenStack] - [OpenStack] Packstack을 활용하여 OpenStack 설치 (다중노드) [OpenStack] Packstack을 활용하여 OpenStack 설치 (다중노드) 실습 주제 : PackStack을 활용하여 OpenStack 설치 (다중노드) VMware Workstation OS : CentOS 7.9 OpenStack Release : Train 실습 구성도 control, compute1, compute2..

IT/OpenStack 2022.03.31